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많습니다. 특히 발음이 비슷하거나 활용 형태가 다양한 단어들은 더욱 그러한데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몇 가지 맞춤법을 정확히 알아보고,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1. '묻히다' vs '뭍히다': 올바른 표현은 '묻히다'

    가장 먼저 알아볼 것은 '묻히다'와 '뭍히다'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묻히다'가 올바른 표현이며 '뭍히다'라는 단어는 우리말에 존재하지 않습니다1. '묻히다'의 기본형인 '묻다'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2.

    흙이나 다른 물건으로 덮어 보이지 않게 하다: "땅속에 묻혔다"3.

    의자나 이불 같은 곳에 깊이 기대어지다: "어둠 속에 묻힌다"4.

    가루나 풀 따위를 다른 물체에 들러붙게 만들다: "얼굴을 페인트에 묻힌다", "옷에 물감을 묻히다", "손에 물을 묻히다"5.

    • 일을 드러내지 않고 깊이 감추다: 이 일은 세상에 묻히고 말았다.

    '뭍히다'는 '묻히다'와 발음이 비슷하여 잘못 쓰이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합니다6.

    2. '-데' vs '-대': 경험과 전달의 차이

    '-데'와 '-대'는 발음이 비슷하여 헷갈리기 쉽지만, 의미가 전혀 다르므로 반드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7.

    • : '-더라', '-던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내용을 말할 때 쓰입니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어 어미로 사용됩니다.9
    • 8
    • 예시: "어제 주사를 맞았더니 몸이 너무 아프
    • (아프더라)"10.
    • : 남의 말을 전달할 때 주로 쓰이며, '-다고 해'의 줄임말입니다.
    • 11
    • 예시: "철수가 주사를 맞았는데 너무 아팠
    • (아팠다고 했어)"12.

    3. '금새' vs '금세': '지금 바로'는 '금세'

    '금새'와 '금세'도 혼동하기 쉬운 단어입니다. 우리가 흔히 '지금 바로'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는

    '금세'가 올바른 표현입니다13. '금세'는 '금시에'라는 단어가 줄임말로 변형된 것입니다14.

    그렇다면 '금새'는 언제 사용할까요? '금새'는

    물건의 값이나 가격, 즉 '시세'를 뜻하는 말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15.

    • 예시: "금새도 모르고 저렴하다고 말하는 것은 요즘 시세와는 달리 저렴하다는 의미다"16.
    • 예시: "소문이 금세 퍼졌다" (빠르게 퍼졌다는 의미)17.

    4. '-든지' vs '-던지': 선택과 과거의 차이

    '-든지'와 '-던지' 역시 말과 말 사이에 들어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지만, 사용되는 의미가 분명히 다릅니다18.

    • 든지: 나열하는 것들이 선택과 관련된 문제일 경우에 사용됩니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으면 어미가 되고, 명사나 대명사에 붙으면 조사가 됩니다. 여러 가지 사실을 늘어놓을 때 이용할 수 있습니다.20
    • 21
    • 19
    • 예시: "밥을 먹
    • 든지 빵을 먹든지" (밥과 빵 중 하나를 선택)22.
    • 던지: 과거의 사건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됩니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어 사용됩니다.24
    • 23
    • 예시: "어찌나 춥던지 몸이 얼어붙는 줄 알았다" (과거에 추웠던 경험).

    5. '낫다' vs '낳다': 회복과 결과의 차이

    어릴 때 많이 헷갈렸던 '낫다'와 '낳다'도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25252525.

    • 낫다:
      • 이전보다 더 좋거나 앞서 있다: "이 방법이 저 방법보다 훨씬 낫다".
      병이나 상처가 호전되어 본래대로 되다: "감기가 낫는 것 같다"26.
      • 문장 마지막에 사용될 때는 불규칙 활용으로 인해 '나아'로 변합니다27.
    • 낳다몸 안에서 알이나 새끼를 만들어서 밖으로 내어놓다: "아기를 낳다"29.
      • 문장 마지막에 사용될 때는 규칙 활용으로 인해 '낳아'로 변합니다30.
    • 어떤 결과를 이루어 가져오다: "결과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게 되었다"28.

    헷갈리는 맞춤법과 표현들을 정확히 알아두면 글쓰기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차이점들을 기억하고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