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은 마스크 착용. 이제는 '호모 마스크루스'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정도로 마스크는 단순한 방역 도구를 넘어섰습니다1. 이러한 변화 속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신조어 중 하나가 바로 '마기꾼'입니다.

    '마기꾼'의 뜻과 등장 배경

    '마기꾼'은

    마스크를 쓴 얼굴과 벗은 얼굴의 차이가 심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마스크'와 '사기꾼'을 조합한 단어입니다2. 이는 실물보다 셀카가 더 잘 나와서 자신의 얼굴로 사기를 친다는 의미의 '셀기꾼'과 유사한 맥락을 가집니다3.

    마스크를 쓰면 머리카락, 눈썹, 이마, 눈까지만 보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외모를 가늠하기 어렵습니다4. 이때 보이지 않는 하관 부분은 상대방이 가장 이상적으로 상상하는 모습으로 채워지게 되고 5, 막상 마스크를 벗었을 때 기대했던 외모와 달라 '사기를 당한 것 같다'며 스스로를 '마기꾼 피해자'라고 자처하는 사람들도 생겨났습니다6. 이는 마스크 뒤에 감춰진 하관이 외모에서 얼마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지 보여줍니다7. 과거 유행했던 '하관의 중요성' 챌린지와도 일맥상통하는 현상입니다8.

    '마기꾼'의 문화적 확산과 활용

    '마기꾼'이라는 단어가 널리 알려지면서, 요즘에는 스스로 마스크 착용 셀카를 올리며 '#마기꾼' 등의 해시태그를 다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습니다9. 특히 10대들 사이에서는 얼굴의 뾰루지, 수염 자국, 여드름 흉터 등을 가리는 용도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자신을 '마기꾼'이라 부르는 유행이 확산되기도 했습니다10.

    또한, 마스크가 단순한 방역용품을 넘어 패션의 일부로 승화되면서 다양하게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11. 뷰티 및 미용 제품 업계에서도 '마기꾼'이라는 단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마스크로 가려지지 않는 눈, 속눈썹, 눈썹 관련 제품을 홍보할 때 '마기꾼이 되어보라'는 문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12.

    마스크 착용의 또 다른 이점과 심리적 영향

    한때 불편하기만 했던 마스크는 이제 되려 도움이 될 때도 있습니다13. 마스크를 쓴 모습으로 상대의 호감을 쉽게 얻기도 하고 14, 표정이 가려져 불필요한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어 편하다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15. 화장을 하지 않거나 면도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몇 분이라도 더 달콤한 잠을 원하는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16. 외모 업그레이드는 덤으로 따라오는 이점입니다17.

    역설적으로, 외출했을 때 마스크를 벗은 모습을 마치 바지를 벗은 것처럼 수치스럽고 부끄럽게 느끼는 사람들도 생겨났습니다18. 오히려 모임에서 마스크를 벗자 대화가 끊기거나 시선이 주목되는 것을 불편하게 느껴 스스로 마스크를 더 쓰고 싶어 하는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19.

    '마기꾼'에서 파생된 단어: '마해자'

    '마기꾼'이 상상했던 것보다 아쉬운 외모를 가진 사람을 지칭한다면 20, 반대로 마스크를 벗었을 때 상상보다 더 이상적인 외모를 가진 사람들은 **'마스크 피해자'를 줄여 '마해자'**라고 부릅니다21. 즉, 마스크를 씀으로써 외모를 절반이나 가려 오히려 외모로 인해 손해를 본다는 의미입니다22. 주로 뛰어난 외모를 가진 연예인들에게 '마해자'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23.

    마스크 착용이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었지만, 언젠가는 마스크 없이 서로의 아름다운 미소와 자신감을 마주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24.

    반응형